야채 (채소) 로 건강한 다이어트를 해야하는 이유!!
저는 철저하게 육식주의 인스턴트 주의였습니다. 입이 당기는 대로 맛있는 거 먹는 걸 엄청 좋아하는데 어느 순간 늘어난 몸무게에 자고 일어나면 손발이 붓고 가슴에 물혹이 생겨서 병원에서 시술받으면서 도저히 이 상태는 안될 것 같아서 식습관을 조금 개선해야 하겠다는 생각했습니다.
일명 채식주의(vegetarianism)는 인간이 동물성 음식을 먹는 것을 피하고, 식물성 음식만을 먹는 것을 뜻합니다.
동물성 음식은 보통 동물로 만든 음식으로 유제품, 버터, 치즈, 요구르트, 계란, 고기, 생선까지 포함하는 말이지만, 일부 엄격하지 않은 채식의 경우에는 동물의 고기를 제외한 일부의 동물성 음식은 먹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는 한 번에 확 끊어서 하는 것은 싫기 때문에 어느 정도 동물성 음식은 섭취하려고 합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채식주의가 무엇이고 왜 채식주의가 나타났고 채식주의로 변화를 주면 어떤 것이 좋은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채식주의의 근본은 무엇일까?
동물 보호주의, 생태주의나 반자본주의, 자연보호, 정신 수양 등의 관점에서 채식을 주장하는 서양과는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건강을 위해 채식하게 되었습니다. 2002년 초에 '서울방송'에서 방영한 "잘 먹고 잘사는 법"이라는 다큐멘터리가 나오고 큰 반향을 일으키게 된 것 입니다.
인도 인구의 20~30% 정도가 락토 베저테리언(동물성 음식중 유제품은 먹는 채식주의자)이 전 세계 채식주의자의 70%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일본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국민들은 서구화 이전에는 육식을 많이 하지 않았다고 하는데 서양에서도 20세기 이후 건강, 윤리, 환경보호 등을 이유로 점점 채식주의자의 비율이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채식주의가 주목받기 시작했을까?
우리 나른 1998년 11월 하이텔의 정신 과학동호회 안에서 만들어졌던 채식 소모임이 시초입니다. 이 소모임을 주축으로 1999년 하이텔 채식동호회로 성장을 하였고 같은 해 5월에 종로 1가에서 처음으로 채식 캠페인이 열렸습니다. 2000년에는 인터넷상에서 처음으로 지역별 대표의 협의체 형식인 푸른 생명 한국 채식 연합이 만들어졌고, 여러 박사와 협력하여 삼육대학교에서 채식 간 연회와 채식 시식회가 있었으며 100여명이 참여한 세계 채식인의 날 캠페인이 마로니에 공원에서 열렸습니다. 초창기 푸른 생명 한국 채식 연합의 회원들은 당시 성장 중이던 인터넷 포털사이트들에 각기 카페를 만들기 시작하였고 대표적인 것이 다음(daum) 채식 나라, 네이버(NAVER) 한울 벗 채식동호회가 대표적입니다.
채식주의는 어떻게 분류되고 있을까요?
비건(vegan) :유제품과 계란, 벌꿀 등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동물성 음식을 먹지 않고, 짐승의 가죽으로 만든 옷 이나 화장품 기타 동물성 원료가 포함된 모든 상품도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동물계에 인간이 가하는 모든 형태의 착취와 학대를 배제하고자 하는 생명 윤리적 의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생채식 주의(Raw veganism) : 식물성 재료를 열을 이용해 조리하지 않고 먹거나, 효소가 파괴되는 온도인 48°C 이상으로는 열을 가하지 않고 조리과정에서 영양소가 파괴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막고 있는 그대로 섭취하는 것을 말합니다.
과식 주의(Fruitarianism) : 과일과 견과류의 열매와 씨앗 등, 식물에 해를 끼치지 않는 부분 안에서만 먹는 경우를 말하고 일부 열매 주의자는 나무에 매달려 있는 열매는 먹지 않고, 다 익어 땅에 떨어진 열매만 먹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감자와 시금치 등은 먹지 않고 그러다 보니 영양소 결핍의 가능성이 있어 그 수가 많지는 않다고 합니다.
락토 베저테리언(lacto vegetarian) : 고기와 동물의 알은 먹지 않지만 먹는 경우로 인도와 지중해 연안의 나라에서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오보 베지테리언(oo vegetarian) : 유제품은 먹지 않지만 먹는 경우를 말합니다.
락토-오보 베지테리언(lacto-oo vegetarian) : 유제품과 달걀류는 먹는 경우로 서양의 대부분의 채식주의자들은 락토오보 베저테리언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종교적 채식주의도 있는데...
불교 채식주의(Buddhist vegetarian, us vegetarianism) : 모든 고기류와 양파, 마늘, 부추, 리크, 샬럿 등을 먹지 않습니다.
자이나교 채식주의(Jain vegetarian) : 유제품은 먹지만 달걀, 꿀, 뿌리 식물을 먹지 않습니다.
명상 채식(Sattvic vegetarian) : 요가 채식이라고도 불리고 유제품과 벌꿀을 포함하지만, 달걀과 발효식품, 술을 비롯해 마늘과 육두구 같은 자극적인 향신료를 피하고 있습니다.
준 채식(Semi-vegetarian), 정확한 의미의 채식은 아니나 특정한 고기를 먹지 않는 사람을 지칭하기도 하고 일반적으로 육식을 하던 사람들이 비건으로 이행하는 중간 단계에서 거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페스코 베지테리안(Peso-vegetarian, Pescetarianism) : 우유, 달걀, 생선까지 먹는 채식주의자를 말합니다.
폴로 베지테리안(Pollo-vegetarian) : 우유, 달걀, 닭고기까지만 섭취하는 경우로 붉은 살코기는 먹지 않습니다.
플렉시테리언(Flexitarian) : 대부분 채식하지만 때때로 육식하는 경우. 일부는 공장식 농장에서 생산되는 고기를 거부하고 자연 상태에서 자란 동물 고기만을 먹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종류의 채식주의 방법이 있는데 이렇게 채식주의로 식습관을 바꾸는 이유는 당연히 건강을 해치지 않고 다이어트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채식주의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뼈 건강 - 몇몇 연구에 따르면, 채식주의자의 생활 방식은 비타민B12의 결핍과 낮은 골밀도와 연관될 수 있다고 하는데 2019년 조사 결과, 채식주의자들은 일반인보다 대퇴골 목과 허리뼈의 골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당뇨병 - 채식주의 식단은 당뇨병에 걸릴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채식주의 식단이 제2형 당뇨병에 걸린 사람들이 당분 조절을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증거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심장병 - 채식주의 식단은 심장병의 위험을 낮추고 만성 질환에 처방된 약의 필요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2015년 조사에서는 채식주의 식단이 총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 비고 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의 혈중 농도를 "효과적으로 낮춘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장수 - 고기(붉은 고기와 가공육) 섭취량이 적은 사람들의 경우 많이 먹는 사람들에 비해 치사율이 25%에서 50%까지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17년 이상 장기간 채식만 한 사람들의 경우 짧은 기간 채식한 사람들에 비해 수명이 3.6년이 더 길게 나타났습니다.
이외에도 계란, 우유 등도 전혀 먹지 않는 완전 채식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의 경우, 고혈압, 비만, 심혈관계 질환 등으로 인한 치사율이 가장 떨어졌고 연구를 이끈 부른 실드 롤랑 박사는 "이번 결과는 장기적으로 먹는 음식이 당신에게 해가 되는지 득이 되는지 보여준다"면서 "고기를 줄이고 과일, 야채, 곡물, 견과류 등이 풍부한 식사를 하는 것이 좋다는 의미"라고 권고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한편 WHO 측은 암을 유발할 수도 있는 고기 섭취를 전적으로 중단할 필요는 없다고 선을 그은 바 있는데 WHO는 "암 유발 위험을 줄이기 위해 가공육을 적당히 섭취해야 한다는 의미지 당장 중단하라고 권유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결국 채식주의는 우리 몸을 건강하게 해주고 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적절하게 채식주의를 병행한다면 건강한 다이어트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 합니다.